본문 바로가기
건강식품 정보/당뇨

당뇨환자 지방세포 근육운동이 살길이다!

by 4시30분의기적 2020. 5. 6.

당뇨환자 지방세포의 근육운동이 살길이다.



제 남편이 고혈압에 당뇨가 있다보니...아무래도 이런 질환에 더욱더 관심이 많이 갈수밖에 없는데요...아직은 젊은 나이다보니 본인은 별로 그닥 신경쓰지를 않아서 걱정입니다. 해서 이렇게 제가 포스팅도 할겸 공부하면서 남편을 조금씩 바꿀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포스팅 해봅니다.



건강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장항준박사님 다들 아시져? 저는 코로나-19때 논문을 풀어주시는 동영상을 보고 참 좋은 분이다. 라는 생각을 했는데요....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일단 가장 빠른 효과를 낼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써 보려고 합니다. 


당뇨환자님들~~~인슐린저항 증후군은 만병의 뿌리이고 그 시작이 바로 지방세포에서 시작된다고 합니다. 지방세포가 백혈구와 같은 면역세포와 같은 역할을 할수 있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우리가 밥을 많이 먹고 운동하지 않고 그래서 너무 많은 칼로리가 지방이 쌓여서 지방세포가 점점 커지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왜냐면 그 지방 자체가 산화가 잘 되기 때문에 지방세포에 지방이 많이  쌓이게 되면 지방세포는 더이상 인슐린에 대해서 말을 안듣게 됩니다. 즉, 저항하게 되는 것이죠. 그 기저는 인슐린 저항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바로 TNF 알파를 이 지방세포가 만들거든요 원래는 이 물질은 백혈구가 만드는 겁니다. 백혈구 중에서도 대식세포가 만드는 굉장히 중요한 염증을 촉진하는 단백질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 단백질이 지방세포에서도 만들어진다는건 굉장히 쇼킹한 일 입니다. 지방세포는 말그대로 그냥 지방만 저장하는 하나의 저장창고와 같은 거라고 우리가 알고 있었는데 아니 지방세포가 백혈구처럼 염증유발 물질을 만든다는걸 아셨나요? 지방세포는 그냥 지방만 축적하는 그런 정적인 세포가 아니고요 그자체가 내분비 세포라고 볼수가 있습니다. 이 말은 즉, 호르몬도 만든다는 말입니다.


지방세포에서 뭐가 만들어지는지 아세요? 렙틴이라는 물질이 나오죠? 렙틴은 우리몸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입니다. 지방세포의 지방이 많이 쌓이면 지방이요 우리 뇌에다가 '이제 그만좀 먹어라~나 지금 더이상 지방 저장할 자리가 없어~'라고 하면서 렙틴이라는 호르몬을 만들면 그 렙틴이 우리 뇌에가서 식욕을 억제하는데 이 비만인 사람들은 나중에 렙틴에 또 저항을 하게 되요 계속 인슐린과 렙틴에 대해서 저항을 하게 됩니다.


나중에는 지방세포에서 아무리 많은 렙틴을 만들어도 뇌가 말을 안듣게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계속 더먹어~' 그래서 나중에는 인슐린저항 렙틴저항 그러면 이제 지방세포가 도저히 못참겠다.라면서 TNF알파라는 아주 무서운 염증유발물질을 만들어서 인슐린 신호를 탁! 컷해버린다는 겁니다. 이것만 보더라도 지방세포는 잉여 에너지를 중성지방으로 저장하는 창고가 아닙니다. 그 자체가 살아있는 내분비세포입니다. 호르몬을 만들기 때문이죠~


사람이 건강하려면요~지방세포가 건강해야 합니다. 지방세포가 건강하려면은 지방세포가 너무 꽉 차면 안된다 이말입니다. 어느 한도까지는 괜찮은데 그 한도를 넘어가게 되면 지방세포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슐린 신호를 컷하는 바로 염증유발물질인 TNF알파를 만든다는 말입니다.


TNF알파가 얼마나 무서운 물질인지 아세요? 그 말뜻이 Tumor necrosis factor 라고해서 암세포를 죽일수 있는 정도의 독성이 있습니다. 파이브로 사르코마 이거 완전히 악성종양이죠...이거를 죽이는 물질입니다. 그러데 우리몸의 지방세포가 그런 걸 만드니 인체가 만성 염증상태로 빠지게 되고 인슐린 저항은 더 악화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우리 이웃님들은 다이어트도 중요하져? 식이요법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는건 아니구요 다이어트라는 것은 오래된 생활 습관입니다. 이것은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습니다. 


근데 당장 나는 인슐린 저항을 줄여야겠다. 라면은 그렇게 할수 있을까요?


넵!! 있습니다. 


그 비결은 바로 우리 몸에 있는 근육입니다. 우리 몸에는 우리를 병들게 하고 늙게 만드는 그런 물질도 있고 또 반대로 우리를 젋고 건강하게 만드는 물질도 만듭니다. 그래서 그 균형이 상당히 중요한데요. 바로 근육에서 마이오카인 이라고 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냅니다. 이 마이오카인이 뭐냐면요~ 싸이토카이, 마이오카인...뒤에다가 카인자가 붙어 있지요? 카인이라는 말이 붙는다면은 그거는 면역세포에서 염증을 조절하는 단백질입니다.


그런데 근육에서도 마이오카인 마이오라는 근육이구요 카인은 아까 얘기한 염증을 조절하는 싸이토카인과 유사 물질이라는 겁니다. 이 마이오카인이 무슨 작용을 하는지 아세요? 바로 항염작용을 해요. 즉, 지방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TNF알파를 만들면 근육에서는 마이오카인 이란 물질을 만들어서 TNF알파의 작용을 차단시켜 버린답니다. 


지방이 문제를 일으키니깐 근육은 그걸 해결하는 해결책으로서 마이오카인을 만든다 이겁니다.  그런데 근육이 그냥 가만히 있는데  마이오카인을 만들까요? 정말 사는동안 건강하게 살고 싶다면 근육을 키우셔야 합니다. 근육이 많을수록 근육이 활발하게 활동 할수록 마이오카인을 많이 만들고 우리 몸이 어떤 이유에서건 염증에 걸렸을때 그 염증이 우리몸을 인슐린 저항에 의해서 몸을 상하게 하는데 그걸로부터 우리몸을 보호해주는 마이오카인을 만들어서 우리 몸을 보호해 주는 겁니다. 


자!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있으면 우리 몸에서 또 염증을 억제하는 물질도 만들어서 우리 몸의 균형을 맞춰줘야 합니다. 그래야 내가 비록 뚱뚱해도 지금 막 TNF 알파가 많고 인슐린 저항이 생겨나서 지방간도 있고 지금 모 당뇨병은 아니지만 조심해야겠네 이런 무서운 얘기도 듣고 요즘 모 되는 일도 없고 그냥 신경질이 나서 하루에 커피를 열잔씩 먹는데도 피곤하다 그러면 이게 바로 인슐린 저항 증후군입니다.


이럴때 어떻게 해야 되는가? 식이요법은 하루아침에는 바꿀수는 없고 맨날 똑같은 밥 이건 내가 어떻게 바꿀수도 없고 너무 바빠서 식이요법도 할수가 없다. 그럼 간단합니다. 지금부터 근육운동을 하세요. 어떤 운동을 해야되는지 제가 말씀드릴게요. 그냥 걷는 운동 이런거 하지 마시구요. 근육이 약간 피곤을 느낄수 있는 근육에 스트레스를 주는 운동을 하세요. 근육에 스트레스를 주는 운동을하세요. 


한가지 근육만 쓰지 마시고 가급적 전신근육을 다 쓰되 특히 우리몸에 축을 이루는 앞에 복근, 그리고 가슴, 그다음에 또 등에도 있어요. 이러한 축을 위주로 해서 팔다리 근육운동을 열심히 하세요. 특히, 하체근육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하체의 힘이 상체의 3배잖아요. 똑같은 10분 운동을 해도 하체운동을 하게되면 상체운동 10분한 것보다 벌써 칼로리가 3배를 더 태워 줍니다. 그래서 자전거 타기 있죠...실내 자전거도 있잖아요. 그냥 타지말고 약간 저항을 줘서 조금 힘든정도로 타세요.


피로를 느끼지 않는 운동...피로가 하나도 없이 그냥 산책하고 왔다. 이런건 죄송하지만 그건 인슐린 저항을 그렇게 낮추지 않습니다. 별로 효과가 없다는 말이지요...물론 약간 경사진 곳이라던가 등산을 한다면 그건 또 다른 얘기지만...근육운동을 해서 내가 피로를 느낄정도로 했을대 그때 근육에서 마이오카인이 바로 만들어져서 분비가 된다는 겁니다. 


예를들어서 패혈증...이라고 sepsis shock라는 나쁜 세균이 있거든요. 이 세균에서 나쁜 독성을 만들어 내는데요. 그게 우리몸에 들어오면 우리 면역세포가 지금까지 말해왔던 TNF 알파를 많이 만들거든요. 근데 어떤 사람이 그런 세균에 감염되기 전에 3시간동안 싸이클을 탔어. 그리고나서 그 균이 들어오잖아요. 그러면 이사람은 sepsis shock 안걸릴 수도 있습니다. 왜냐면 마이오카인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운동하지 않는 사람이 똑같은 균이 들어왔다면 한명은 sepsis shock으로 죽을 수도 있고, 한명은 그냥 가볍게 넘어갈 수 있다는 겁니다. 어마어마 하져?? 지금 말씀드리는 이 내용은 저의 뇌피셜이 아니라 전부다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입니다. 하루에 운동 20분만 해도 됩니다. 그러면 벌써 다음날부터 TNF 알파가 줄어들게 되요. 식이요법이나 이런거는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이 운동은 바로, 즉시, 지금 효과가 일어난다는 말 입니다.


물론 식이요법으로도 이 염증을 줄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부터 바로 해서 건강해질수 있는 운동!! 하루 10분, 20분도 좋습니다. 당뇨환자...근육운동만이 살 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