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과 코로나 위험하다!!
고혈압 있는 사람이 코로나에 더 걸리기 쉽다고?? 그래서 오늘은 숀리 박사님의 말씀을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코로나 초기에 감염이 될때만 해도 노약자들에게서 확진자나 사망자가 많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물론 젊은이들도 피해갈수 없을정도로 확산이 되어가고 있는데요.
그래도 노약자 분들은 예방차원에서라도 더욱더 주의를 기울이셔야 하는데요. 특히나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더 쉽게 노출된다. 라는 설이 있습니다.
논문을 보시면 고혈압과 당뇨가 있는 사람들이 과연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까? 라는 제목의 논문이니다. 2020년 3월 11일 영국에서 발행되는 수준높은 매거진인 란셋(LANCET)이란 의학저널에 게재된것입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2019년 양샤부연구진들이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52명의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원해 32명이 사망했는데 그 사망자들을 살펴보니까 뇌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이 22%였고 그 다음 당뇨병이 22%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다른연구에서 코비드19가 확인된 1029명의 환자중에서 고혈압 환자가 23% 당뇨환자가 16% 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세번째 연구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140명의 환자중에서 고혈압환자가 30% 당뇨병환자가 12%였다고 합니다. 고혈아과 당뇨병은 엔지오텐신(Angiltensin) 전환효소를 억제하는 약물로 치료를 하고 있다는 거구요.
*엔지오텐신(Angiltensin) 억제제란? 간단히 얘기하면 혈관을 확장하는 물질로서 혈관이 확장되니까 혈관의 압력이줄어들면서 고혈압환자의 혈압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해서 피가 잘 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당뇨, 고혈압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이다.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라고 하는게 한가지가 아니고 그전에 메르스, 사스도 있었고 그 변형이라고 하는데 이런 바이러스들이 우리몸에 들어올때 엔지오텐신(Angiltensin) 전환효소 2리셉터를 통해서 들어오게 됩니다. 줄여서 ACE-2라고 하는데 코로나 바이러스는 바깥에 뿔이 달려 있습니다.
그것이 ACE-2 리셉터에 맞춰지는 거에요. 그럼 그걸 뚫고 들어오는 거거든요. 그래서 그걸 통해서 들어와서 우리 몸에서 지금 가장 중요하게 얘기되고 있는 폐가 있고 그 외에 심장도 있구요 신장이나, 혈관에 들어오면 상피세포에서 감염이 되서 그때부터 발병을 하기 시작하는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뭐냐하면 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ACE-2 수용체를 통해서 들어오는데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있는 분들이 그 약을 먹게 되면 ACE-2의 수용제츼 양이 더 많아지니까 다른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훨씬더 감염되기가 쉬울거라는 이야기 입니다.
따라서, 당뇨병이나 고혈압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에 쉽게 걸리는게 아니라 그 질환에 쓰이는 치료약이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가 졀합하는 수용체를 증가 시켜서 그래서 더 쉽게 감염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치료하는 약중에 디아졸리딘디온즈와 아이부프로펜이라는 약이 있습니다. 아이부프로펜(ibuprofen)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한국에서는 이부프로펜이라고 부릅니다. 이 이부프로펜같은 경우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입니다. 그러면 이부프로텐이 ACE-2 수용체를 늘릴 수 있다는 얘기잖아요.
왜냐면 지금 당뇨와 고혈압을 치료하는 약을 먹으면 ACE-2 수용체의 숫자를 증가시켜서 당뇨와 고혈압 환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더 걸리기 쉽다.라고 했잖아요. 그래서 프랑스 장관이 이 이야기를 트윗에 올리기까지 하면서 굉장한 이슈가 되었고 또 언론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가짜 뉴스라고 규정을 했다고 합니다.
BBC와 같은 주요언론들과 미국의 언론들은 3월19일 즉각적으로 가짜뉴스라고 보도를 했구요. 그리고 3월 19일 미국 FDA도 유사한 입장문을 냈습니다. 현재로서는 비스테로이성 소염진동제가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세를 더 나쁘게 할것이라든지 또는 더 잘 걸리게 한다든지 하는데 대한 증거가 없다. 라고 입장을 밝혔는데요.
그런데 재미있는게 뭐냐하면 이 약이 바이러스 진단을 어렵게 할수도 있다고 얘기를 한겁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이부프로펜 성분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만들어진 타이레놀을 선호하는 현상이 야기가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아세타미노펜과 이부프로헨은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크게 본다면 아이부프로펜은 성분명이고 상품으로느느 잘 알고 계시는 애드빌 같은 겁니다. 그런데 이 아이부프로펜을 장기간 다량 사용하게 되면 혈관수축으로 인해서 콩팥기능이 떨어질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세타미노펜은 주성분이 대표적인게 타이레놀인데요. 이것도 애드빌과 마찬가지로 해열, 진통, 감기몸살에 먹습니다. 그러나 이 아세타미노펜 또한 장기가나 복용을 하게되면 간기능을 떨어뜨린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가지 약다 장기복용을 하게된다면 그렇게 안전한 약은 아니라고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논문에서는 애드빌(아이부프로펜)을 먹으면 안되요 라고하고 있고 미국 FDA에서는 먹어도 됩니다.라고 하는데...그렇다면 이 약의 부작용을 한번 살펴본다면 이 약자체가 일부 면역기능을 약화시킨다고 이미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폐렴이나 수두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게 이미 나와있습니다.
지금 아이부프로펜이 ;무조건 안전하다고 말하는 것은 언론이나 FDA가 환자나 소비자의 이익을 위해서 취할 옳은 태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간단히 말해서 저는 위험성이 있다라고 보기때문에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으신 분들은 아세타미노펜 성분의 타이레놀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 나쁜선택이 아니라 하는 개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오늘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고혈압 그리고 당뇨병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숀리 박사님의 의견을 들어보았는데요. 모니모니해도 아무리 좋은 영양제도 오래 장기간 복용하면 오히려 독이 된다하여 중간중간 쉬는 시간을 갖고 다시 복용한다고 합니다. 하물며 인위적으로 내 몸을 조절하기 위해서 먹는 치료제가 장기간 복용하면 좋겠습니까?
흠...고혈압이나 당뇨환자들이 10년이상 오랜기간 약을 먹으면 신장이 안좋아지고 결국 그러다가 혈액투석 그리고 신장이식의 단계를 거치는 분들이 많다고 하는데....그말이 사실이었군요 ㅜㅜ
다들 고혈압과 당뇨병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충분히 고칠수 있는 질환이라고 하니까 열심히 운동하고 식이요법 합시다. 아오~~우리 신랑 큰일났네...나만 없으면 라면 끓여먹고, 음료수에 아이스크림에 과자에....에혀~~~보험이나 많이 들어놀까? ㅋㅋ 보험도 안받아 줍니다. 여러문 그럼 오늘도 신나는 하루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건강식품 정보 >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약부작용 이래도 계속 드실겁니까? (0) | 2020.05.22 |
---|---|
고혈압에좋은운동 5분만 투자하세요~!! (0) | 2020.05.20 |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고혈압에좋은영양제 (0) | 2020.05.18 |
댓글